온라인 상담 /상식 ·법률 ·정보
7월 17일부터 광역알뜰교통카드 대상지역이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됩니다.
이혼전문변호사 재판이혼 재산분할 원이혼소송센터
2020. 7. 18. 07:20
대중교통비가 최대 30% 할인된다는 광역알뜰교통카드
대중교통비가 최대 30%할인된다는 광역알뜰교통카드의 대상지역이 2020년 7월 17일부터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된다고 한다. 그동안 서울시의 경우 일부 몇개의 자치구에서만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실시하여 왔었다. 2020년 7월기준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는 14개 시‧도에서 128개 시‧군‧구 이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이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플레이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어플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후 설치 및 가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후 대중교통 이용 시 어플에서 출발 ⇒ 도착 시 버튼을 눌러주시면 자동으로 마일리지가 측정되어 적립된다.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후불카드신용·체크카드 발급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택일) 후 일정횟수(15회) 이상 사용* 시 마일리지 적립
사업 지역 거주민이 아닐 경우 마일리지 미지원*
사업지역에 포함되지 않아도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
삼성페이 등 모바일페이 등록 시 마일리지 적립 불가**
광역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마일리지 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를 지급하지 않음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보행·자전거 800m 이동시, 월상한 44회)
교통요금지출액 | 2천원이하 | 2천원초과~3천원이하 | 3천원초과 |
마일리지 지급액 | 250원 | 350원 | 450원 |
* 800m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지급,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시 두배 지급
단, 해당 지역 주민만 광역알뜰교통카드신청시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혜택 가능
저소득층 청년 마일리지 상향 지원
저소득 청년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이메일(ms_kim711@kotsa.or.kr)로 신청
상향 마일리지는 증빙서류 접수 확인일 기준으로 반영되며, 카드사 요금 청구시 추가 할인되어 청구됨
※ 서류 접수 시 반드시 확인받을 연락처 함께 기재해야 함
마일리지 적립 방식
[출발-승차 구간]
1.승차 및 승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2.출발-승차 시간동안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걸음수 측정
3.측정한 걸음수에 보폭을 곱해서 이동거리 계산
4.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원/800m)
[하차-도착 구간]
1.하차 및 승하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받음
2.하차-도착 시간동안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걸음수 측정
3.측정한 걸음수에 보폭을 곱해서 이동거리 계산
4.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원/800m)
[하차-도착 구간 마일리지 지급 정책안]
하차시 하차 태그를 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마일리지 환산거리는 (자택(출발버튼)~첫정류장(승차카드태그))도보거리와 (마지막정류장(하차카드태그)~회사(도착버튼))의 도보거리 합으로 해당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 금액도 달라집니다. 최대 800m확인시 최대 마일리지가 반영됩니다. 어플사용시 GPS수신이 불가한 경우 거리계산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며 중간 환승을 위한 도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광역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제도이므로, 대중교통 이용 없이는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는다.
매월 적립된 확정 마일리지는 다음달 결제일에 결제대금에서 차감되거나 카드사에서 캐시백으로 지급되나, 정확한 지급일 등은 카드사 정책 및 결제일에 따라 상이하므로, 궁금하신 부분은 카드사로 문의하면 된다.
※스마트폰 이외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음
카드 종류
후불교통카드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와 제휴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발급된다.
2020년 7월 현재까지는 광역알뜰교통카드용으로 별도로 제작한 신한신용카드, 신한체크카드, 우리신용카드, 우리체크카드, 하나신용카드, 하나체크카드만 해당된다.
신한 체크카드의 경우 청소년도 발급이 가능하며, 하나 체크카드는 하나BC로 나온다. 체크카드의 경우 신한과 하나는 기존 S20/S초이스/비바 이하넥스 체크카드에 광역알뜰교통카드 기능을 애드온한 형태지만, 우리카드의 광역알뜰교통 후불 체크카드는 썸타는/롤챔스 체크카드와 카드의정석 쿠키 체크카드를 결합한 형태로 나왔다.
그리고 신한/우리와 달리 하나BC 광역알뜰 이하넥스 체크카드는 하나카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없으므로 광역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신청해야 한다.
후불 신용/체크카드의 경우 이용 첫 달을 제외한 최소 월 15회 이상 이용하여야 마일리지 혜택을 돌려받을 수 있다.
다만, 교통 이용금액 할인 폭이 좁지는 않으나, 기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월 할인한도를 채워 혜택받는 사람들은 굳이 이 카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총 소비금액에서 할인받는 금액으로 접근하면 광역알뜰교통카드로 월 1만 원 이상 혜택 받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광역알뜰교통카드는 실물카드로 대중교통이용시에만 마일리지 적립되며, 모바일페이(삼성페이, 티머니 등) 등록후 이용한다면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는다
아이폰을 사용자의 경우 반드시 앱 처음 실행시 건강 접근을 허용해야 출발-정류장, 정류장-도착간 걸음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만일 건강 접근 허용을 하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는다.
앱 처음 실행시 건강 접근을 허용하지 않았으면 건강 앱 실행 후 하단 탭에 데이터 소스 클릭 -> 광역알뜰교통카드 클릭 -> 모든 카테고리 켜기를 클릭하면 면 된다.
카드를 분실 후 재발급을 받은 경우 동일한 카드사의 경우 별도의 카드 등록 없이 대중교통 이용시 적립이 되나, 다른 카드사의 경우 어플에서 카드 등록을 해야만 연계되어 적립된다.
대중교통 이용 내역 및 마일리지 내역은 각 카드사와의 연계기간 (최소 2일 ~ 주말/공휴일 포함 최대 8일) 이후 내용을 확인할수 있다.
참고로 카드변경은 월1회만 가능하다
앱 사용 시 이동거리를 추적하여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서비스이므로, 위치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 위치서비스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안드로이드폰 |
아이폰 |
설정 > 앱 및 알림 > 모든 앱 보기 > 광역알뜰교통카드 > 권한 > 위치 > 항상 허용 or 활성화 |
설정 > 개인 정보 보호 > 위치서비스 > 광역알뜰교통카드 > 앱을 사용하는 동안[iOS10] 설정 > 일반 > 백그라운드 앱 새로 고침 > 켬, 광역알뜰교통카드 > 켬 |